복합성 요실금
요실금이란?
요실금은 자신도 모르게 소변이 흐르는 증상을 말합니다. 갑작스럽게 복압이 높아질 때(재채기를 하거나 크게 웃을 때, 뛰거나 줄넘기 등 운동을 할 때 등), 소변이 마려운 느낌이 들면서 바로 소변이 누출되는 현상을 보입니다. 요실금은 성인 여성에서는 35~40%, 성인 남성에서는 2.1~5.7%의 발생 빈도를 보이며 노인의 요실금 증상이 심하면 소변이 반복적으로 누출되어 일상생활에 많은 불편감이 따르게 되므로 적절한 관리 및 치료가 필요합니다.
요실금 원인은?
요실금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 자연분만으로 인해 골반 근육이 느슨해진 경우
- 신경이 손상되어 요도 괄약근의 기능이 저하된 경우
- 폐경 여성
- 급성 및 만성 방광염
- 골반부 수술, 방사선 치료의 합병증, 당뇨, 중추 및 말초 신경 질환 등
요실금 유형 및 증상
요실금에도 다양한 유형이 있으므로 이를 잘 파악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복압성 요실금 – 복압 증가시 소변이 누출
기침이나 재채기, 줄넘기, 달리기 등 복압이 올라갈 때 소변이 흘러나오는 현상입니다. 임신과 출산으로 방광과 요도를 지지하는 골반 저근이 약화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폐경기에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하여 요도의 접합을 유지하는 기능이 약화되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 외에도 자궁 적출술 등 골반 부위의 수술 이력, 골반 장기 탈출증, 비만, 천식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 일류성 요실금 – 가득찬 방광에서 소변이 넘쳐 흐름
방광에 소변이 가득 차서 넘쳐 흘러나오는 현상으로 방광의 수축력이 저하되거나 방광 출구가 막혀 효과적으로 소변을 배출할 수 없는 경우에 나타납니다.
3. 복합성 요실금 – 복압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이 합쳐짐
복압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이 혼합된 형태로 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증상과 심한 정도를체크하여 복압성, 절박성의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4. 절박성 요실금 – 방광 과민반응으로 비정상적 소변 누출
갑작스럽게 요의가 찾아오고 이 때 소변을 참지 못하고 소변을 보는 경우를 말합니다. 과민성 방광, 뇌졸중이나 척수 손상 등의 신경계 손상이 있는 경우, 방광염이 심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별한 질환의 원인 없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요실금 치료
1) 복압성 요실금 치료
1. 물리치료
경미한 요실금시 해당됩니다.
- 골반근육운동 (케켈운동)
- 바이오피드백 치료
2. 수술치료
경증도의 요실금이지만 물리 치료해도 효과가 없거나, 중증도 이상의 요실금인 경우에 슬링수술(TOT)을 하게 됩니다.
TOT수술방법
인체에 무해한 특수 구조물을 이용하여 요도 아래에 특수그물망(Tape)을 고정시켜 주는 방법으로 방광, 혈관, 신경의 손상 없이 이루어지는 수술입니다. 반영구적인 효과를 보이며 빠른 일상 복귀가 가능합니다.
3. 치료성공률
- 방광목의 과운동성에 의한 요실금의 경우 치료성공률은 95% 이상
- 괄약근 기능 부전에 의한 요실금의 경우 치료성공률은 약 90%
우리산부인과의 요실금 수술 Know-how
1. 복압성 요실금의 원인은 3가지 입니다.
- 원인에 따른 맞춤형 수술을 하여야 수술의 최대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후유증이 적습니다.
2. 우리산부인과는 비뇨 부인과 전문 선생님이 원인에 따른 맞춤형 수술을 합니다.
- 일반 선생님은 1가지 (방광목의 과운동성)만 수술합니다.
2) 절박성 요실금 치료
과민성 방광 치료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