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적인 문제가 없는 건강한 산모는 임신 중 여행이 악영향을 미친다는 보고는 없으며 비행기도 임신 말기가 아니라면 탈 수 있습니다. 유산과 조산의 위험이 있어 초기와 후기보다는 임신 중기에 가는 것이 좋으며 먼 거리보다는 가벼운 여행이 좋습니다.
여행 도중에 자주 쉬어 주고 자세를 바꾸어 주는 것이 좋고 비행기 여행인 경우 항공사마다 탑승 가능한 주수가 있고 탑승에 필요한 서류가 있으니 미리 확인하여야 합니다.
*주의사항*
- 현재 양수파막, 조기진통 치료의 경험이 있거나 당뇨, 습관성 유산, 자궁근종, 조산의 기왕력이 있는 산모,
다른 의학적인 문제가 있는 경우는 여행을 피하세요.
- 장거리 여행시 최소 2시간마다 일어나서 몸을 풀어주고 20분 정도 보행을 해서 하지의 혈액순환을 좋게 해주세요.
(정맥류와 혈전예방)
- 가능하면 요동이 적은 앞좌석에 앉으시고 등받이를 누운 자세로 취해 주시면 좋습니다.
- 멀미나 구토가 더 잘 일어날 수 있으므로 식사는 가볍게 하세요.
- 화장실엔 천천히 다녀오세요.
- 시트 벨트는 부른 배 아래로 가볍게 매세요.
- 어깨 벨트는 유방과 유방사이에 하세요.
- 장시간 차를 탈 때 다리를 조금 조이는 스타킹을 신으세요.
- 오랫동안 여행시에는 지금까지의 검사결과를 포함한 진료기록을 가지고 가세요.
*임신 중 해외여행을 자제해야할 상황*
산과적 문제
- 유산 경험이 있는 산모
- 자궁경부에 문제가 있다고 진단 받은 산모
- 자궁외임신 경험이 있고 아직 확실한 정상임신이라고 진단 받지 못한 산모
- 조산, 조기양막파수 경험이 있는 산모
- 과거 또는 현재 임신 중 태반이상이 있는 산모
- 절박유산 또는 질출혈이 있는 산모
- 다태아 산모
- 태아성장 이상
- 과거 임신 중 자간전증, 고혈압, 당뇨 등을 앓았거나 현재 앓고 있는 산모
- 35세 이상 또는 15세 미만인 산모
일반의학적 문제
- 혈액응고성질환 환자
- 심한 천식 환자
- 심장질환자
- 신부전환자
- 심한 빈혈환자
- 이외에도 자주 의학적인 관찰을 요하는 환자
유해한 장소 및 상황
- 높은 고도 여행지역
- 현재 식품 또는 곤충에 의한 질병이 도는 지역
- 항말라리아제에 저항성이 있는 말라리아 발병지역
- 생백신 접종을 필요로 하는 지역
기타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온라인 상담을 이용하시기바랍니다.
바로 가기